<아직 살아있는 자 전두환> 저자의 의도가 가장 잘 드러났고 인터뷰어의 성의 있는 독해가 돋보이는 인터뷰. 2013년 8월 16일자. 인터뷰 일부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69272 (프레시안)
---------------------
프레시안 : 전두환의 재산 문제가 처음 조사된 1988년부터 법원이 추징금을 확정하고 여러 의혹이 추가로 드러나기도 했지만 현재까지 미결 상태다. 수사기관의 의지 부족이 문제였을까, 아니면 정권마다 상이하게 책임을 물어야 하나.
고나무 : 일단 이 문제에 대해 지난 정권의 방기 혹은 무책임을 논한 박근혜 대통령의 지적은 옳다. 하지만 전두환 비자금 추징 문제는 그것이 시작된 전두환·노태우 두 전 대통령의 내란죄 수사 자체가 김영삼 정부, 정권으로 치면 신한국당 시절에 시작된 데서 알 수 있듯 진보와 보수 간에 의견차가 있는 정치적인 문제가 아니라 보편적인 정의 문제다. 그런 의미에서 가장 큰 책임자가 있다면 검찰이라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정권 일부에 책임을 묻자면 일차적으로 두 전 대통령을 너무 일찍 사면해 준 김대중 정부에 책임이 있을 것이다. 덧붙여 비자금 규모를 밝혀놓고도 끝내 추징하지 못했던 노무현 정부, 정확히 말하자면 '노무현 정부 당시의 검찰' 역시 책임을 물을 대상이 될 수 있겠다. 참고로 이번 채동욱 검찰총장 하의 검찰은 지켜보고 믿어볼 만하다고 생각한다.
프레시안 : 박근혜 대통령이 국정원 선거개입 이슈에 대한 검찰과 여론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전두환 재산 문제에 대한 수사를 강화하는 것 아니냐는 음모론도 있었다.
고나무 : 나도 그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지나친 음모론이라고 생각한다. 그게 대통령의 한마디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면 과거 정부에서는 왜 안 됐을까? 이 음모론은 5.18 피해자들에게 특히나 더 납득되지 않을 것 같다. 다시 강조하지만 이는 진보-보수의 문제가 아니라 마땅히 했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사례에 해당한다. 당연히 해결해야 했을 정의의 문제에서조차도 소위 진보·개혁 진영은 힘이 없었던 거다.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취재한 기자 입장에선, 무능한 진영이 제기하는 음모론이 우스울 수밖에 없다.
과거 기록을 통해 전두환과 박근혜란 인물의 역사적 인연을 추론해 보면, 박 대통령이 검찰 수사 강화를 지시했을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 다만 여러 가지 이유에서 지금 상황을 박 대통령이 싫어하지는 않을 거다, 정도로만 이야기할 수 있겠다.
프레시안 : <한겨레>는 언론이 로데이터를 공개하고 시민이 그걸 내려 받아 제보하는 '크라우드 소싱' 방식으로 전두환 은닉 재산 찾기를 기획했다. 전두환 재산과 관련한 여러 단독보도가 시민 제보를 토대로 이루어졌다고 들었다. 이 문제와 관련해 '검찰 수사와 선의의 경쟁을 할 것'이라는 표현을 썼는데 어떤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고 보는가.
고나무 : <한겨레>가 지난 5월 20일에 이 기획 기사를 내보내자마자 채동욱 검찰총장이 전두환 미납 추징금 문제를 언급하고 즉시 전담 수사팀이 꾸려진 점 등을 고려하면, 언론기관의 선도적인 문제제기가 검찰 수사를 자극한 경우라고 생각한다. 이후에도 전두환 재산 이슈에 관한 한 <한겨레>가 선도해 왔다고 자부한다. 검찰 쪽에서 드러내 놓고 반응이 오지도 않았고 올 리도 없지만 기사를 잘 보고 있다는 전언은 들은 적 있다. 선의의 경쟁 외에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모르겠다. 어쨌든 <한겨레>는 이 문제를 계속 추적할 것이다.
'출간도서 > 아직살아있는자전두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만원짜리 수표를 든 전두환 포스터를 만들어도 그는 아파하지 않는다 (0) | 2014.08.22 |
---|---|
금융실명제법 개정안 통과되어 연내 실행, 앞으로 차명계좌의 돈은 계좌 명의자의 것 (0) | 2014.05.09 |
마키아벨리의 가능주의, 마키아벨리 정치철학 필요한 이유 (0) | 201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