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도서/정치적 독자들7 마키아벨리의 초상: <정치적 독자들> 마키아벨리의 초상 4장을 한데 모아봤습니다. 제작 시간순으로 보면 1. 오른쪽아래 '1550~1560년대 유화' 2. 왼쪽위 '1550~1600년대 유화' 3. 왼쪽아래 '17세기초 유화' 4. 오른쪽위 '1780년쯤 판화'200년 시간에 걸쳐 그려진 그림인데, 같은 인물이 맞나 싶을 정도로 달라 보입니다.(한상원 지음) 책에선1.정치적 실천을 정세속에서 사유한 실천가, 2.지배이데올로기의 비밀을 누설한 이론가,3.인민친화적, 공화주의적 색채가 짙은 사상가, 등마키아벨리에 대한 다면적인 평가(그람시,알튀세르를 통한)를 전체적으로 조망합니다.'과연 마키아벨리는 어떤 사람이었나?' 이런 고민을 초상화 장르 이미지에 담아봤습니다. 정치적 독자들 : 네이버 도서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search.. 2024. 11. 1.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정치적 독자들> 1520년경 피렌체__피렌체는 외세에 의존해서만 메디치가를 몰아내고 공화정을 부활할 수 있었고 다시 외세에 의해 공화제가 해체된 상황이었다. 분열된 이탈리아는 그처럼 외세에 자율성이 박탈된 채 지속 가능한 정치적 체제를 수립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키아벨리는 이탈리아의 세속적· 정치적 통일을 통해 자율적 질서를 지닌 정치 공동체를 수립해야 한다고 진단한다.군주와 인민의 상호 관계__새로운 영토를 점령한 군주는 가장 강한 무장력을 갖췄다 하더라도 해당 인민의 지지를 받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가르침이다.__“마키아벨리의 스타일은 중세나 인문주의 때유행하던 체계적인 논문 편집자의 스타일이 아니었다. 오히려 정반대로, 행동하는 사람의 스타일이며 행동을 촉구하는 사람의 스타일이고 정당 선언의 스타일이.. 2024. 10. 12. "초기 시민사회의 어두운 작가들": <정치적 독자들> “초기 시민사회의 어두운 작가들”: 이성의 도구화에 대한 예찬 아렌트가 읽어내는 '전체주의의 기원'__홉스가 말한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이 ‘자유주의적 개인’이 살아가는 현대사회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그로부터 일종의 ‘전체주의의 기원’을 읽어낸다. __현대성의 비극: 자기보존의 이기주의가 사회 성립의 토대로 제시된다.__ “홉스의 출발점은 부상하는 부르주아 계급이 만든 새로운 사회 체제의 정치 욕구에 대한 탁월한 통찰이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__ 홉스적 개인과 전체주의: 원자화되고 고립된 부르주아 사회의 개인들은 홉스적 자연상태와 같은 사회적 삶을 영위한다. 사회적 유대 관계를 상실한 익명의 고립된 개인들은 전체주의 대중 운동의 주체가 되어 사회에 대한 원한 감정을 폭력적으로.. 2024. 7. 17. "정치철학은 '읽는 대결' 속에서 벼려졌다": <정치적 독자들> (한상원 지음)한겨레 서평입니다(2024.7.12.) "정치철학은 '읽는 대결' 속에서 벼려졌다" 한상원 충북대 철학과 교수의 ‘정치적 독자들’은 근대 정치철학의 고전 텍스트를 현대의 정치철학자들이 각자의 상황에 맞게 어떻게 다르게 읽어냈는지 포착한 책이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이라는 고전을 통해 정치라는 고유한 영역을 새롭게 이론화한 사상가다. 20세기 무솔리니는 ‘군주의 강력한 지도력’을 강조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을 끌어와 파시즘 정권의 권위주의적 권력 행사를 정당화했다. 자유주의자들은 ‘군주론’과는 결이 다른 ‘로마사 논고’ 속 ‘민주적’인 마키아벨리를 여기에 맞세우려 했으나, 혁명적 마르크스주의자 안토니오 그람시는 같은 ‘군주론’을 들고 파시즘에 맞섰다. “‘옥중수고’에서 그가 도입.. 2024. 7. 13. 예외상태(Ausnahmezustand): "예외는 정상적인 경우보다 더욱 흥미롭다." 벤야민에게 영향을 끼쳤을 슈미트의 문장:예외는 정상적인 경우보다 더욱 흥미롭다.__예외를 분석함으로써 정상적인 정치적 상황까지 이해할 수 있다는 슈미트의 관점은 통찰력을 드러낸다. “예외는 정상적인 경우보다 더욱 흥미롭다. 정상은 아무것도 입증하지 못하고, 예외는 모든 것을 입증한다. 예외가 규칙을 확인할 뿐 아니라, 규칙 전체가 오로지 예외를 통해서만 존립 가능하다.”_슈미트 예외상태(Ausnahmezustand), 법의 효력을 중단하는 정치적 비상사태.즉 긴급조치처럼 일상적인 정치 질서와 개인의 자유가 일순간에 중지된다. __히틀러가 집권한 뒤 제3제국 독일은 즉각적으로 바이마르공화국의 법을 효력 중지한다. 히틀러의 집권 기간 중 이런 긴급조치는 해제된 적이 없다. “법률적 관점에서 제3제국은 1.. 2024. 7.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