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출간도서/매일같은밥을먹는사람들14

2023 국민 삶의 질 보고서: <매일 같은 밥을 먹는 사람들> 통계청(2024.2.22. 발표) ‘2023 국민 삶의 질 보고서’ 한국 사회, 소득과 자산은 줄어들고 빈부 격차는 커짐 한국인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는 OECD 최하위권 한국인 삶의 만족도 최하위권 __유엔 산하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의 '세계행복보고서 2023'에 따르면, 한국의 삶의 만족도(2020~2022년 평균)는 5.95으로 OECD 평균(6.69)에 크게 못 미친다. OECD 38개국 중 한국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 콜롬비아, 그리스뿐이다. 1인당 국민총소득 __2022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642만원으로 전년(3659만원)에 비해 17만원(0.5%) 줄었다. 2011년 이후 2~5%의 증가율을 기록했던 1인당 국민총소득은 2018년부터 정체 국면에 .. 2024. 2. 23.
가처분소득 1.2% 증가, 물가 3.6% 상승, 먹거리물가 6%대 상승: <매일 같은 밥을 먹는 사람들> 2023년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1%대 증가, 먹거리 물가는 6%대 상승. 특히 가공식품 물가와 외식 물가 등 먹거리 물가의 부담이 컸다: 2023년 소비자물가 중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6.8%, 외식 물가 상승률도 6% 가처분소득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2023년 1∼3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평균 393만 천 원(*가처분소득: 전체 소득에서 이자나 세금 등을 뺀 것으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 사진 연합뉴스 캡처 저소득층의 먹거리 부담은 더 컸다. 2023년 1∼3분기 누적 소득 하위 20%(1분위)의 가처분소득은 평균 90만4천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9% 늘었다. 2분위는 220만3천원으로 0.3% 증가에 그쳤으나 3분위는 1.7% 늘었고 4분위는 2.1%, 5분위는 0.8.. 2024. 2. 15.
하위 20%, 1인 가구 고물가 고금리 직격탄: <매일 같은 밥을 먹는 사람들> 2023년 3분기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각 가정의 소득과 지출 실태를 파악해 실질적인 가구 소득이 얼마나 증가했는지 확인하는 지표) ‘하위 20%’ 가구만 소득 줄고 지갑도 닫았다 __2023년 3분기(7∼9월) 하위 20% 저소득 가구만 소득이 홀로 감소했다. 저소득 취약가구는 월소득도 4년여 만에 처음으로 2개 분기 연속 뒷걸음질쳤다. __하위 20% 가구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각각 9.2%, 12.7%나 곤두박질했다. __소득 격차는 지출 감소로 이어졌다. 하위 20% 가구의 소비 지출은 0.7% 줄어 전체 가구 중 유일하게 지갑을 닫았다. __하위 20% 소비 지출이 감소한 건 코로나 때인 2020년 1분기(-5.4%)와 2023년 3분기 두 번뿐이다. 이처럼 지출을 줄였음에도 하위 20% 가구.. 2024. 1. 9.
중산층 비중, 계층 상향 기대감 KDI ‘우리나라 중산층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보고서(2023.1.31. 발표) ▶계층 상향을 기대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매년 감소해 10년 사이 10%포인트 넘게 줄어들었다. ▶한국의 중산층 규모는 정부의 소득지원 확대를 바탕으로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다. 중산층 기준 __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통계청에서 주로 쓰는 기준인 ‘중위소득 50∼150%’를 ‘중산층’으로 규정했다. 중산층 소폭 증가세 __최근 10년(2011∼2021년) 동안 시장소득 기준 중산층 비중은 50% 내외에서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시장소득 기준으로는 10년간 50% 안팎을 유지 중). 시장소득은 근로·사업·재산소득 등 경제 활동을 통해 번 돈을 말한다. __그런데 시장소득에 정부 지원금까지 포함한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는 2011.. 2023. 2. 1.
'식품 안정성' 개념: <매일 같은 밥을 먹는 사람들> ‘식품 안정성’(food security) 식품 안정성은 ‘영양학적으로 충분하고 안전한 식품을 항상 확보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한다. __해외에서는 오래전부터 통용된 개념으로 정부 간 기구인 ‘세계 식품안정성에 관한 위원회’가 1974년 설립돼 활동 중이다. 식품 안정성은 배고픔을 해결하는 것 이상의 개념이다. 누구나 활기차고 건강한 삶을 위해 다양하고 영양학적으로 충분한 음식을 먹을 수 있을 때 식품 안정성이 확보된다. __우리가 이 개념에 익숙하지 않은 이유는 그동안 사회의 관심이 굶어 죽지 않는 데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전쟁 이후 수십 년간 우리는 배고픔과 싸워왔다. 한반도에선 일부 지배 계층을 제외한 대부분 사람이 내일의 끼니를 걱정하며 살았다. 배를 채우는 걸 넘어 다양한 음식에서 영양까지.. 2022.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