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보도 사진을 찍는 일 말고 행사와 사건이 끝난 뒤 남아서 자신을 위해, 또 다른 쓸모를 위해 사진을 찍고 글을 적었다. 앞모습 사진은 골라 매체용 사진으로 챙겨 마감하고, 가만히 선 모습이나 뒷모습 사진은 따로 챙겨뒀다. 어두침침한 사진, 보도에는 마땅치 않은 사진이지만, 쓸데없는 사진이어도 문득 쓸 곳이 떠올라 여러 장을 찍었다. 이번에 그런 사진에 글을 붙여, 때로는 글에 사진을 곁들여 책으로 묶었다.
◎ 현장의 미시사
혹은 현장에서 시간은 어떻게 흘러가는가
임종진 작가가 지적하듯이 정기훈이 머문 자리는 ‘콜텍, KTX, 쌍용차 등 해고 노동자의 단식 농성장, 광화문 세월호 천막, 일본대사관 등’ 같은 ‘척박하고 처절한 토양’이다. 하루이틀이 아니다. 그런 현장의 한복판에서 다급한 이슈를 잠시 벗어나 어쩔 수 없이 드러나게 마련인 사람 자체의 품격과 온기를 사진과 글은 포착했다. 하종강 교수가 저자의 작업을 ‘우리들의 소중한 미시사’라고 표현한 것은 그런 시간 작업을 말한 것이다. 하교수는 “그들 사이에 오간 가슴 저미는 대화들이나 통계 속 숫자에 묻혀버릴 뻔했던 사실들을 이 책이 아니었다면 죽을 때까지 보지 못하고 듣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저자는 사진기자로서 농성장과 노동 현장 등 한국 사회 주요 사건 현장을 찾았는데 그가 빠뜨린 현장은 드물었다. 하종강 교수는 저자의 사진과 글을 보고 ‘그는 모든 현장에 있었다’라고 적었다.
◎ 책 구성
책은 피사체와의 거리를 기준 삼아 총 4부로 나눴다. 여기에 각 사진마다 ‘초점거리’를 밝혀 피사체와의 거리를 좀 더 정확히 가늠해보도록 했다. 저자는 거리에서 만난 사람과의 아름다운 거리가 얼마쯤일지를 늘 고민한다.
◎ 저자의 말
사진은, 그중에도 매체 사진은 자주 무례하다. 사진을 찍으려면 사람 앞에 설 일이 많은데 부끄럼 많은 나는 다가가길 망설였다. 무작정 카메라를 가까이 들이대는 건 폭력적이라고도 느꼈다. 그럼에도 나는 광각렌즈 끼우고 가까이 다가가 찍는 사진을 선호했다. 피사체에 얼마나 가까이 갈 수 있을까, 가까이 가는 게 맞는 걸까를 늘 생각했다. 피사체와의 거리는 관계와 비례하는 일이 많았다. 돌이켜보면 멀찍이 물러나지 못해 실패한 일보다는, 가까이 다가가려는 노력을 하지 않아 망친 일이 훨씬 많았다. 특별한 일 없어도 오며 가며 농성장을 찾았다. 혹시 뭐 없나 싶어서다. 뭐가 있긴, 거기도 사람 지내는 곳이니 사람 얘기에 귀 기울였다. 남들이 서러워 울 때가 사진기 든 사람이 바빠질 때다. 미안함도 잊고 플래시를 연신 터뜨렸다. 나는 무뎌져갔다.
◎ 차례
쓸모에 대하여
빚지다
1미터: 큰일인데 별일 아닌 것처럼
2~3미터: 설레는 봄볕, 서러운 봄
5~7미터: 장소는 기억을 품는다
10미터: 이것은 영화가 아니다
네이버 책: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768503
사진 정기훈
'출간도서 > 소심한 사진의 쓸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문상세이미지. 추천의글. <소심한 사진의 쓸모> (0) | 2019.11.26 |
---|---|
저자의말, 추천의글. <소심한 사진의 쓸모> (0) | 2019.11.22 |
2019년 11월20일 출간. <소심한 사진의 쓸모> (0) | 2019.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