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알려지지 않은 소수자 범주까지 세분화
고도비만인, 채식주의자, 입양 가족, 검정고시인, 탈모인, 왼손잡이, 발달장애인 가족, 알레르기 환자, 난민, 군 비현역, 왜소증 장애인, 전과자, 난임 부부, 나홀로 중년, 성인 ADHD 환자, 조손 가족, 캣맘과 캣대디, 외국인 노동자, 비음주자, 난독증 환자, 암 생존자, 보호종료 청소년, 화교, 중증 화상 환자, 탈북 학생, 한국인 무슬림, 중증 정신질환자, 남성 보육교사, 중도입국 청소년, 장애인의 비장애 형제자매, 가정 밖 청소년, 자살 유가족, 직업계고 졸업 근로자, 결혼이주 여성, 트랜스젠더, 재소자 가족, 미혼모 가족, 색각이상자, 시각장애 학생
저자 소개
저자들은 한국일보에 ‘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가 연재되던 2018년 3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한국일보 정책사회부를 거쳐 간 기자들이다. 정책사회부는 일반적으로 복지, 노동, 교육, 젠더, 인권 등을 다루는 부서다. 2021년 현재 이 기자들은 대부분 정책사회부를 떠나 서로 다른 부서로 뿔뿔이 흩어져 있지만, 각자의 자리에서 사회에서 가려진 소수자의 목소리를 더 크게 듣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중 조원일과 김치중은 각각 뉴스타파와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으로 직장을 옮겼다.
고경석, 고은경, 김민호, 김이삭, 김지현, 김치중, 남보라, 송옥진, 신지후, 신혜정, 이성택, 전혼잎, 조아름, 조원일, 진달래, 최진주
'출간도서 > 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조금씩은 소수자: <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 (0) | 2021.02.21 |
---|---|
본문 상세이미지: <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 (0) | 2021.02.19 |
2021년 2월17일 출간: <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