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3월 28일 서울중앙지검이 발표한 '세월호참사 보고서 조작 사건' 수사 결과
최초 서면 보고: 오전 10시가 아니라 오전 10시 19분, 20분 관저에 상황보고서 1보 도착
__청와대는 세월호에서 보낸 마지막 카톡 메시지가 10시 17분이었던 점을 감안해 이때를 골든타임의 마지막으로 보고, 첫 서면 보고 시간을 그전인 오전 10시로 앞당겼다.
__청와대는 상황보고서 1보를 10시에 작성했다. 초안을 본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이 박대통령 휴대전화로 두 차례 전화했지만, 대통령은 받지 않았다. 그러자 김실장은 안봉근에게 전화해 '상황보고서 1보를 관저로 올릴 테니 보고될 수 있게 조치해달라'고 부탁
__10시 12분, 13분 상황병이 1보를 들고 관저로 출발. 1보를 받은 관저 내실 근무자가 대통령 침실 앞 탁자 위에 1보를 올려놓은 시각이 10시 19분, 20분
__1보를 박대통령이 읽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음
__안봉근이 대통령 침실 앞에서 수차례 불러 박대통령이 밖으로 나온 것이 10시 20분
__김실장이 급히 통화하기를 원한다는 말에 박대통령이 전화를 걸고 지시를 내린 것이 10시 22분
국가안보실장에게 첫 지시: 박대통령이 10시 15분에 첫 통화해 지시하고 다시 10시 22분에 전화한 것이 아니라, 10시 22분에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에게 처음 전화해 지시
대통령비서실 상황 보고: 대통령비서실 말처럼 11회 서면 보고한 것이 아니라, 정호성의 이메일로 상황 보고. 이후 정호성이 받은 비서실 상황보고서를 오전과 오후 각각 한 차례씩 일괄 출력해 박대통령에게 보고(탁자에 올려놓기). 즉 실시간 보고는 없었다.
최순실 방문: 최순실이 오후 2시 15분 이영선이 운전하는 차를 타고 보안손님으로 대통령 관저를 방문
__그 후 5인 청와대 대책 회의: 박대통령, 최순실, 정호성, 이재만, 안봉근
__이 회의에서 박대통령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방문하는 것 결정
__최순실은 일주일에 한 번가량 관저를 방문해 회의를 했고, 이때는 세월호 참사와 무관하게 예정되어 있던 방문이었다.
A급 보안손님: 최순실, 김영재 원장, 박채윤 씨 3명
4시간 공백은 여전: 박대통령이 관저 침실에서 나와 안봉근을 대면한 오전 10시 20분부터 최순실과 회의를 시작한 오후 2시 15분까지 4시간 공백이 생긴다. 의심은 '왜 그런 엄중한 시간에 아무런 지시도 내리지 않은 채 관저에 계속 머물렀는가'이다.
10시 20분까지도 의문: 관저 침실에서 나온 10시 20분 이전까지 박대통령이 침실에서 무엇을 했는지도 규명되지 않았다. 평일인데도 왜 침실에서 10시 20분까지 계속 머물렀으며 전화도 문자도 받지 못하는 상태였는가 하는 것.
'출간도서 > 세월호참사 팩트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월호 침몰 원인, 검찰의 설명과 법원의 판단 "모른다" <세월호참사 팩트체크> (0) | 2018.04.28 |
---|---|
세월호참사에서 과연 '구조행위'라 할 만한 것이 있었는가. 선원과 해경 (0) | 2017.12.04 |
세월호 참사 위치와 이동 경로, 퇴선조치를 내렸어야 할 위치 (0) | 2017.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