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할 때 퇴직금이나 각종 연금도 재산분할을 해야 한다
부부가 이혼할 때 남편이 이혼한 뒤 장래 받게 될 퇴직금도 재산분할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지가 문제였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민일영)는 7월 16일 교사인 부인 A씨가 연구원인 남편 B씨를 상대로 낸 이혼 소송에서 '퇴직수당이나 퇴직금은 재산분할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대전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다.
또 같은 날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양창수)는 전업주부인 부인 C씨가 경찰로 근무하다 퇴직한 남편 D씨를 상대로 낸 이혼 소송에서 'D씨가 앞으로 매월 지급받게 될 공무원 퇴직연금 중 일부를 C씨에게 지급해야 한다'라는 원심의 판단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다만 '재산분할 비율이 잘못 산정됐다'는 이유로 사건을 수원지방법원으로 돌려보냈다.
혼인기간 동안 아내의 내조가 남편의 직장생활에 기여했고 퇴직금을 받는 데 도움이 된 만큼 이혼할 때에도 나눠가져야 한다
대법원은 "확실하지 않은 퇴직금을 재산분할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으면 이혼 이전 이미 일방 배우자가 퇴직한 경우와 비교해 불공평한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며 "혼인생활이 파탄에 이르렀지만 퇴직금을 수령할 때까지 이혼을 미루도록 강제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1)
http://news1.kr/articles/?1773777
대법원이 제시한, 퇴직일시금과 공무원 퇴직연금의 재산분할 기준˙방법
퇴직일시금: 이혼 소송의 사실심 변론 종결시 퇴직할 경우 받게 될 퇴직일시금 상당액 채권이 재산분할의 대상
공무원 퇴직연금: 일방 배우자가 매달 받게 될 연금 중 일정 비율을 상대방 배우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방식
'올해의판결2014~2017년64선 > 2014년판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휴직 중 공사장에서 일한 것은 취업에 해당하므로 육아휴직 급여를 반환하라는 판결 (0) | 2014.08.20 |
---|---|
의족 파손도 근로자의 부상으로 보아 업무상재해로 인정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근로자 부상의 범위를 생래적 신체로 한정할 필요 없다" (0) | 2014.07.14 |
국민에게 집회의 자유를 보장해야 할 국가가 단순참가자에게 일반교통방해죄라는 무거운 법을 적용해서는 안된다 (0) | 201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