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출간도서/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

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 13: 중도입국 청소년

by 북콤마 2021. 7. 8.

집 밖 세상에 대한 두려움

자신의 서툰 한국어를 듣고 나서 상대방의 표정이나 목소리가 변한 사건 하나하나가 마음에 생채기를 낸다.

 

중도입국 청소년

__한국인 배우자와 재혼한 아버지 혹은 어머니를 따라 한국에 왔거나,

__국제결혼 가정에서 태어난 자녀 중 외국인 부모의 본국에서 성장하다가 들어온 경우를 말한다.

__외국인 이주 노동자(조선족과 고려인 등 포함)가 입국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 본국에 있는 자녀를 데려온 경우도 포함된다.

 

다문화 학생은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국제결혼 가정 출신 학생과 외국인 가정 출신 학생을 말하고,

국제결혼 가정 학생은 국내 출생 학생과 해외에서 태어나 부모를 따라 입국한 중도입국 학생으로 구분된다.

 

통계

__교육부가 발표한 ‘2020년 교육기본통계’ 결과에 따르면

2020년 4월 1일 기준 다문화 학생 수는 14만 7378명으로 전체 학생의 2.8퍼센트에 해당한다. 학생 100명 중 3명가량이 다문화 학생인 셈이다.

__다문화 학생 중에선 국제결혼 가정의 국내 출생이 77.2퍼센트(11만 3774명)로 가장 높고, 외국인 가정이 16.6퍼센트(2만 4453명), 국제결혼 가정의 중도입국이 6.2퍼센트(9151명)이다.

__외국인 가정의 자녀 수(국내외 출생 모두 포함)가 2만 4453명(2020년 교육기본통계)에 달하는 점 등을 고려하면 현재 중도입국 청소년의 수는 3만 명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도입국 청소년 중 학교에 다니지 않는 경우

__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등 연구 기관에 따르면 중도입국 청소년 중 학교에 다니지 않는 경우가 30퍼센트가 넘는다.

__한국노동연구원이 2014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중도입국 청소년(만 15~24세)의 37.7퍼센트가 취업도 하지 않고 학교도 다니지 않는 ‘니트’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__이들은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 문화에 익숙한 다문화 가정 자녀와는 달리 한국어조차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서툰 한국어는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심리적, 정서적 차원에서 중도입국 청소년의 상황

__다문화 가정 자녀와는 다른 상황에 놓여 있다. 한국에 미리 와 있던 부모와 장기간 떨어져 살아온 경우가 많아 고향을 떠나온 외로움이 쌓여 있다.

__예민한 청소년기에 한국 생활을 하면서 겪는 차별로 마음의 상처까지 더해지기 쉽다.

__이런 점에서 한국 사회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겉돌게 될 여지가 한국에서 태어난 다문화 가정 청소년보다 더 크다.

 

지원 방향

__중도입국 청소년은 다문화 가정이나 ‘이주배경 청소년’(다문화 가정, 난민, 미등록 아동, 외국인 노동자의 자녀 등을 포괄한 용어)과 관련한 정책을 논의할 때 곁가지 주제로 취급돼왔다.

__무엇보다 중도입국 청소년을 공교육 제도 안으로 끌어들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__한국 학교에 편입학할 때 재학(졸업)증명서와 성적증명서 등을 기존 국가에서 발급받아 와야 하는 등 서류를 마련하는 것부터 난관이다.

__일반 학교에선 한국어가 미숙한 중도입국 청소년을 받을 환경이 조성돼 있지 않다.

 

부처별 실태 파악

__중도입국 청소년을 지원할 정책을 마련하는 데 가장 시급한 것은 실태 파악이다

__중도입국 청소년을 포함한 이민자 관련 정책은 장기적으로 봐야 하고 부처 간의 협업 체계가 필수적이지만, 현재로선 부처별 칸막이가 견고하다.

__중앙정부 안에 이주배경 청소년을 위한 지원 정책을 총괄하는 조직이 필요하다.

 

[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 “엄마 사는 한국에 왔다가 학교도 못 가” 고립된 중도입국 청소년

중도입국 청소년 3만명 넘을 듯… 다문화가족 자녀와 달리 한국어 서툴러 미취학 비율 30% 넘어… 공교육 제도 편입 지원 필요 ※ 대부분의 사람은 적어도 한 두 가지 측면에서는 소수자입니다.

www.hankookilbo.com

 

 

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

한국 사회에서 유독 힘들게 살아가는 소수자들이 말하는차별 속 또 다른 차별, 타인의 시선!소수자의 삶을 공들여 취재해 있는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뿌리 깊은 사회적 편견과 차별적 인식을 극

book.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