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도서757 <일본제국 vs. 자이니치> 연표 자이니치 연표 1910년 8월 29일 일본의 조선 병합. 이때 일본은 모든 조선인에게 일본 국적을 부여한다. 1947년 5월 2일 천황이 마지막 칙령인 외국인등록령을 발표한다. ‘대만인 가운데 내무장관이 정한 사람과 조선 사람은 당분간 외국인으로 간주한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일본에서 생계를 유지하던 조선인, 즉 자이니치를 즉시 외국인으로 등록한다. 1948년 5월 11일 남조선과도정부 법률 제11호인 ‘국적에 관한 임시 조례’에 의해 식민 지배에 있던 조선인은 다시 조선 국적을 회복한다. 물론 심리적으로는 광복일인 1945년 8월 15일부터 일본국적자가 아니었다. 1948년 조선반도에 두 개의 국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생긴다. 1952년 4월 28일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발효. 일본.. 2015. 7. 14. <일본제국 vs. 자이니치> 차례 차례 서울 일본의 한국인 _그리워 헤매던 긴긴 날의 꿈 _나는 일본 사람이 아니다 조선적 _멸망한 왕조의 생존자 _이중 지위의 무국적자 네이션 _헛된 고백은 울음이 되고 _너는 왜 다르냐는 물음 본명과 통명 _한 사람, 두 이름 _허락되지 않는 이름들 배타적 언어 _말의 감옥 _와타시와 자이니치데스 평양 자이니치 대이주 _국경의 긴 터널 _10만의 선택 경제적 살인 _가리워진 나의 길 _진짜 자본주의는 묻지 않는다 헤이트 스피치 _인종차별철폐조약 _당신의 적은 내가 아니다 조선학교 _조선학교, 민족학교, 우리학교 _김일성 초상화가 있는 그 학교 오키나와 _류큐의 여름 _섬, 외롭지 않은 도쿄 조선총련 _원수들의 앞잡이 _공화국의 두리에 총집결 재일민단 _김대중을 사형하라 _적대적 공생 관계 재외국민 _낯.. 2015. 7. 14. 7월 17일 북콘서트 일정 <땅딛고 싸우기> 홍대입구역 어슬렁 정거장 카페 2015. 6. 25. 북콘서트 <땅딛고 싸우기> 6월 3일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 북/콘/서/트 케이블방송 설치수리 기사들의 열악한 노동환경과 투기자본의 횡포에 맞선 일상을 기록한 「땅딛고 싸우기 (케이블방송 설치수리 노동자에 대한 기록)」 북콘서트를 통해서 간접고용 비정규직 관련 문제 인식을 공유하고 파업투쟁 205일, 노숙농성 177일, 고공농성 50일의 투쟁에서 드러난 과제와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합니다. “지금 당신은 이 글을 무엇으로 보고 있는가? 책상 위 PC인가, 스마트폰인가? 아직도 그것이 물건으로만 보이는가? 당신이 쓰는 인터넷, 당신이 손에 든 휴대폰은 절대로 물건이 아니다. 사람이다. 묻지 않아도, 알고 싶지 않다 해도 그것은 사람이 만든 것이다.” 물건이 아니라 사람의 노동이다. 저자는 그들의 숨겨진 노동을 어떻게 드러낼까 고민했다. 그것은 화면 뒤에 있는 사람을 .. 2015. 5. 20. <땅딛고 싸우기> 책 속에 언급된 동영상 12쪽 동영상 El Empleo(The Employment) by Santiago Bou Grasso https://vimeo.com/32966847 189쪽 동영상 미궁과 크로마키(Choroma-Key and the Labyrinth) by 차재민 https://vimeo.com/91402949 2015. 5. 11. 이전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 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