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도서757 <땅딛고 싸우기: 케이블방송 설치수리 노동자에 대한 기록> 추천의 글 추천의 글 지금 당신은 이 글을 무엇으로 보고 있는가? 책상 위 PC인가, 스마트폰인가? 아직도 그것이 물건으로만 보이는가? 당신이 쓰는 인터넷, 당신이 손에 든 휴대폰은 절대로 물건이 아니다. 사람이다. 묻지 않아도, 알고 싶지 않다 해도 그것은 사람이 만든 것이다. 그래도 여전히 부인하고 싶다면, 아래 영상을 보길 바란다. 당신이 보일 것이다.__김동원(공공미디어연구소 연구팀장) ‘필자들은 왜 이 기록을 시작했을까?’ 축사를 쓰려고 원고를 읽으면서 처음 떠오른 질문이다. 한국에서 자행된 사모펀드의 노동잔혹사에 분개하여?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소중한 연대의 기록을 남기려고? 필자들에게 묻지 않았다. 왜냐하면 어떤 이유이든 이 책이 세상에 나온 것만으로 충분히 감사하기 때문이다. 쉽지 않은 성취이며 드문 .. 2015. 4. 29. <땅딛고 싸우기> 언론 보도협조 자료 1. 이 책은 OOO에 대한 이야기다 이 책은 ‘우리집 TV와 인터넷을 설치하고 수리하고 철거하는 엔지니어의 이야기’다. 흔히 이들은 회색 작업복과 둥글게 말린 케이블 선만으로 기억된다. 이사하거나 TV와 인터넷이 고장 났을 때 전화하면 다녀가는 이들. 아무도 이들이 누구인지 궁금해하지 않았고 말을 건네지 않았다. 설치를 마치면 이런저런 설명을 해주고 떠나던 이들은 한 번 보고 말 사람이었고 얼굴도 기억나지 않았다. 여기에 사람은 없다. ‘디지털 셋톱박스와 검은 선로가 가입자들에게 제 발로 걸어가는’ 듯하지만 그렇지 않다. 우리가 보는 화면 뒤에는 엄연히 그들의 노동이 숨어 있다. 김동원 공공미디어연구소 연구팀장은 방송․통신 업계 노동자들의 숨겨진 노동을 이렇게 말했다. “지금 당신은 이 글을 무엇으로 .. 2015. 4. 29. <공평한가?> 출간 기념 특강 전수안 전 대법관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의 '판결비평'을 묶은 출간 기념 특강으로 전수안 전 대법관을 모십니다. 4월 28일 오후 7시 참여연대 느티나무홀 '좋은 판결이란 무엇인가?' 2015. 4. 15. 판결비평 10년의 활동 <공평한가?> 판결비평 10년의 활동을 엮은 책, 를 소개합니다. 2005년 이후 진행되어온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의 판결비평 작업이 책으로 결실을 맺었다. 이 책은 우리 사회의 진전을 받쳐준 디딤돌 판결과 이를 가로막은 걸림돌 판결의 요체를 간명히 정리하고 있다. ‘선출되지 않는 권력’이 내리는 판결은 주권자 국민의 삶을 직접적으로 규정하고 중대히 변화시킨다. 정치적, 사회적 분쟁의 최종 마무리가 법원이나 헌법재판소에서 이뤄지는 경향이 강해지는 현실에서 국민은 판결과 그것을 내리는 사람을 더욱 주목하고 감시해야 한다. 이 책이 좋은 망원경과 현미경 역할을 할 것이다.__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015. 2. 24.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령 개정안에 대한 민생보위의 의견, 추정소득 부과에 반대한다 2015. 1. 15자로 입법 예고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령 개정안에 대해 47개 인권ㆍ시민단체로 구성된 연대체인 민중생활보장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비판 의견을 냈습니다. 특히 송파 세 모녀가 수급 자격을 얻지 못한 주된 이유인 ‘추정소득’에 대해 ‘확인소득’이라는 말로 바꾸어 시행령에 추가하는 등 잘못된 조치들은 반드시 철회되어야 할 것입니다. 추정소득 부과(안 제3조의3제13호) 안 제3조의3제13호는 (ㄱ) 수급(권)자의 소득 관련 자료가 없거나 불명확한 경우, 또는 (ㄴ)「최저임금법」제5조에 따른 최저임금액 등을 고려할 때 소득 관련 자료의 신뢰성이 없다고 보장기관이 인정하는 경우 개별가구의 생활실태 등을 조사하여 추가로 확인한 소득을 소득평가액에 가산하도록 하면서, 구체적 산정기준은 보건복지부장.. 2015. 2. 24. 이전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52 다음